코딩 & 과학 & 교육
사용해 본 언어를 중심으로 다루는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각기 스타일과 철학이 다르기 때문에 점수를 준다거나 하기는 곤란합니다. 언어 자체에 대한 리뷰가 아니라 언어를 사용해본 경험을 리뷰한 것에 가깝습니다 C++ 이름대로 C로부터 파생한 언어입니다. C와의 차이점을 꼽으라면 객체지향성을 꼽는 분들이 많습니다. 다만 요즘에는 C 언어 또한 객체지향성을 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는 복잡하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꼽습니다. ROOT ROOT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유지관리하는 C++기반 데이터분석 프레임워크입니다. 입자물리학 등에서 자주 쓰입니다. 이 ROOT는 C++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사용자가 작성하는 명령의 ..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운 후 밑바닥부터 시작해 게임을 만드려고 한다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간단한 충돌 하나 구현하는 것도 상당히 힘들죠. 게임 엔진 게임 엔진은 게임을 만들 때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을 미리 담아둔 패키지입니다. 코드 모음으로 제공하는 경우나 거대한 종합 개발 소프트웨어로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잘 알려진 게임엔진으로는 유니티(Unity), 언리얼 엔진 4, 파이게임(PyGame), 렌파이(Ren'Py) 등이 있죠. Phaser Phaser는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게임 엔진입니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오픈소스입니다. 물리 엔진, 그래픽 엔진, 사운드 엔진 등을 포함하는 코드모음 입니다. 자바스크립트 게임 엔진이 가지는 장점을 활용하고자 할 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
포스팅을 하다보면 그래프나 차트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은 엑셀 등을 사용해서 그래프나 차트를 그린 후 이것을 그림으로 저장하여 포스팅에 포함하지만 원시데이터가 필요하거나 수정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Plotly는 포스팅 하는 과정에서 수치를 직접 입력하여 그래프나 차트를 표시하는 도구입니다. Plotly Plotly는 각종 여러 언어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그래프 라이브러리입니다. 점 그래프나 막대그래프 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지도 위에 표시할 수도 있고, 3D 차트를 그릴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CDN을 통해 Plotly를 불러오고 간단한 사용법을 다룹니다. Plotly.js Plotly.js에서 제공하는 CDN을 아래 HTML 태그로 간단하게 불러올 수 있습니다. 불러온 Plotly를 아래..
간혹 같은 페이지인데도 오페라, 크롬, 사파리, 엣지에서 보이는 모습이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나 모바일에서는 생각과 다른 모습으로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것은 별도의 스타일을 지정하지 않으면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스타일 기본값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reset.css: 브라우저가 지정한 모든 스타일을 지운다 normalize.css: 기본 지정 스타일을 통일한다. reset.css reset.css는 현재 이 스킨이 사용하는 스타일 초기화입니다. 모든 속성을 지우고 스킨이 지정한 스타일만 보여줍니다. 파일의 크기가 작다는 장점이 있지만 당연하다 싶은 스타일마저 다시 설정해야 합니다. normalize.css normalize.css는 모든..
티스토리 스킨을 세번째 갈아엎었습니다. 이번에는 저번보다 더 포스트를 중심으로 하는 블로그를 지향하도록 스킨을 제작했습니다. 첫 페이지 3단계 반응형으로 제작하였습니다. 개별 글 개별 글에는 아래의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각각의 기능은 스킨 편집 메뉴의 속성 컨트롤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코드블럭 도구: 코드블럭이 길어지면 해당 코드블럭을 스크롤 박스로 만듭니다. 코드블럭 상단 도구상자에는 원래 길이로 보는 버튼과 복사 버튼을 추가했습니다. 목차 생성기: 포스트 내의 h1, h2, h3 태그를 읽어 목차를 만들고 내부링크를 추가합니다. KaTeX: LaTeX 문법의 수식 표현을 지원합니다. ($$ $$: 디스플레이, \\( \\): 인라인) hljs: highlight.js를 이용한 소스코드 구문강조를 지..
스킨 개발을 위한 본문 스타일 정리입니다. 티스토리 스킨에서 포스트 본문은 로 불러오는데요. HTML편집으로 작성하지 않은 이상 클래스나 아이디등 속성이 비어있는 상태입니다. 저는 티스토리의 마크다운 편집기를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스킨에서 본문 스타일을 하나하나 찾아서 지정하느라 애먹었습니다. 지금 스킨도 마음에 안들어 갈아엎는 참에 마크다운을 기준 하는 본문 스타일 정리를 한번 해야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포스트 본문 내용의 구조 클래스 tt_article_useless_p_margin는 테마 스타일시트에서 padding이나 margin으로 준 문단의 위아래 여백을 !important까지 써가며 지워버리는 클래스로 마크다운 에디터로 쓰는 경우 자동으로 붙는 모양입니다. 스킨을 만들면서 스타일을 작성할 때..
요즘 만들어둔 스킨이 맘에 안들 때 문제있는 부분을 찾아서 만들기가 너무 어려워 아예 처음부터 다시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유지 관리하기 편한 개발환경을 만들기 위한 고민을 시작했습니다. 개발 언어와 기능 기본적으로 티스토리 스킨에는 HTML, CSS, javascrip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들을 그대로 사용하다보니 수정할거리가 생기면 찾기가 너무 힘들었는데요. 컴파일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유지관리에는 훨씬 유리한 SASS(SCSS), Typescript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추가로 HTML파일에는 import태그를 추가해서 테마를 조각단위로 작성한 후, 컴파일을 통해서 하나의 skin.html로 만드는 기능을 추가하기로 했습니다. Python 패키지 자주 사용하는 언어가 파이썬(pyth..
네이버 블로그나 브런치 등 제한적인 블로그에 수식을 쓰는 경우 이미지를 붙여넣는 방법을 자주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매번 수식 이미지를 만들고 붙여넣는 불편함과 문자열 단락 안에 수식을 삽입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티스토리나 구글 블로거 등 스크립트까지 편집 가능한 스킨을 쓰는 경우, \(\LaTeX\)로 잘 알려진 \(\TeX\)문법을 사용해서 수식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KaTeX\) KaTeX는 TeX 문법으로 작성한 수식을 가장 빠르게 변환하는 것으로 알려진 조판엔진입니다. 내장 함수를 이용해서 직접 변환할 수도 있고, 자동 랜더링 함수를 불러와서 자동으로 랜더링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CDN을 이용한 KaTeX 사용 널리 사용하고 있는 CDN 제공자를 통해 KaTeX를 사..
VSCODE(Visual Studio Code;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프로젝트 안의 파일이 변경, 생성되는 경우 자동으로 변경내용을 포함하여 새로 빌드하는 것을 감시(Watch)라고 합니다. 웹 개발 등에서 감시를 활용하면 매번 변경사항을 적용하기 위해 컴파일 명령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니 편리합니다. VSCODE의 플러그인인 tsc-watch나 SASS-autocompile등이 이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포스트는 tasks.json을 활용하여 감시 기능을 하는 파이썬(Python)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tasks.json 프로젝트의 .vscode/tasks.json은 테스크 작업을 관리하는 파일입니다. Ctrl + Shift + P를 눌러 작업 명령 팔레트를 열어 Tasks:..
End of content
No more pages to 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