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 과학 & 교육
하나의 템플릿 검색결과, 위치로그, 방명록, 글, 카테고리, 글 목록 등 모든 메뉴는 skin.html이라는 하나의 템플릿으로 모두 정의합니다. 보이는 내용에 따라 다른 페이지를 구현할 수는 있겠지만, 모든 정보를 하나의 파일에 넣어야 하기 때문에 불러올 skin.html의 크기가 커져서 페이지를 로딩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아주 길어지게 될겁니다. 아래에 다룰 치환자를 사용해 표시할 내용의 레이아웃을 정할 수 있습니다. 치환자 skin.html에서 공통요소들을 정한 다음 치환자를 이용해 개별 요소를 표시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내용} 형태의 그룹치환자와 형태의 값 치환자가 있습니다. 치환자의 종류와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스킨가이드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티스토리 스킨..
블로그에 마크다운을 쓸 때 자주 사용하는 방법은 에디터의 HTML모드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마크다운 양식으로 본문을 쓴 다음, 스킨에 스크립트를 추가하여 마크다운 문서를 HTML 문서로 변환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추가: 이제 티스토리는 마크다운도 잘 지원합니다 skin.html 수정 마크다운으로 작성한 본문을 HTML로 변환하기 위해 jQuery와 showdown.js를 사용합니다. 실제로 변환에 사용하는 스크립트는 showdown.js이고 jQuery는 스크립트 작성의 편리를 위해 임의로 추가한 것입니다. 이후에 진행할 개조까지 생각하면 jQuery의 기능을 활용할 일이 반드시 생길듯하니 첫 개조부터 jQuery를 활용해 스킨 내부 스크립트를 작성하려 합니다. cdnjs에서 제공하는 jQuery CDN..
End of content
No more pages to load